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미·중 무역전쟁' 최대 피해는 반도체 기업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우려가 커지면서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의 주가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CNBC는 골드만삭스의 자료를 분석 중국과 무역전쟁이 발발하면 가장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20개 기업을 꼽았다. 선정 기준은 전체 매출 대비 중국 매출 비중이다. CNBC에 따르면 중국과 무역 전쟁이 일어나면 가장 큰 피해를 볼 기업은 스카이웍스 솔루션이다. 매사추세츠에 본사를 둔 이 기업은 반도체 관련 부품업체로 중국 매출 비중이 무려 85%를 차지한다. <표 참조> 두 번째로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 역시 반도체 관련 부품업체인 쿼보(Qorvo)다. 중국 매출 비중이 75%에 이른다. 세계적 칩 제조업체인 퀄컴 역시 중국과의 무역 전쟁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퀄컴의 중국 매출 비중은 69%로 세 번째를 차지했다. 이밖에 그래픽용 칩 제조업체인 앤비디아(56%), 반도체 업체인 마이크론(55%), 브로드컴(54%), 텍사스 인스트루먼츠(45%) 등이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톱10 기업에 포함돼 반도체 관련 업체들이 중국과의 무역 전쟁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텔 역시 중국 매출 비중이 40%로 13위에 랭크됐다. 한편, 중국 매출이 가장 많은 미국 기업은 애플로 나타났다. 애플의 지난해 중국 매출은 447억6000만 달러로 미국 기업 중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애플 전체 매출의 22%를 차지하는 것으로, 애플은 중국과의 무역 전쟁 발발시 취약한 기업 19위에 랭크됐다. 김현우 기자 [email protected]

2018-03-14

"중국산 제품에 600억 달러 관세 추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통상 압박을 강화할 목적으로 무기한(indefinite) 관세와 투자 규제, 중국 관광객에 대한 비자 발급 제한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CNBC방송이 소식통을 인용해 13일 보도했다. 로이터통신도 이날 백악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기술·통신 분야를 중심으로 최대 600억달러 어치의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압박조치는 무역대표부(USTR)의 중국 기업들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재산권 침해 사례 조사 이후 나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상무부에 중국의 미국기업 지재권 침해 여부를 조사하는 행정명령을 내렸고, USTR은 '수퍼 301조'로 알려진 무역법 301조를 적용해 이를 조사해왔다.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지난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USTR 대표는 조사 결과에 근거해 중국의 지재권 침해 행위에 대응해 300억 달러 어치의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트럼프 대통령에 제시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연 300억 달러보다 많은 수치를 목표로 삼을 것을 지시했고, 관세 조치는 이르면 다음 주 발표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은 이날 로이터통신에 관세부과 조치가 매우 가까운 미래에 이뤄질 것이며, 애초 중국의 기술과 지재권을 겨냥한 조치이지만 최종적으로는 100가지 품목에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관세 대상 품목에는 중국의 주요 수출품인 의류와 신발 등이 포함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첨단 분야에서의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해 투자를 규제하고, 중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을 제한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미국 정부는 중국의 하이테크 기업들이 미국으로 진출, 통신 등 기반시설 분야에서 사업하는 것에 대해서도 보안 우려를 제기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12일 국가안보를 내세워 브로드컴의 퀄컴 인수에 제동을 건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기간 때부터 천문학적인 대중 무역적자를 지적하며 중국에 대한 무역공세를 공언해왔다. 지난해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3750억 달러에 달한다. 미국은 최근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경제 책사인 류허 공산당 중앙재경영도소조 판공실 주임에게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 1000억 달러 줄일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2018-03-14

관세부과, 앨라배마 자동차산업에 ‘부메랑’

관세부과 시행되면 “일자리 10% 사라질 것” 현대차, 판매부진·원가상승 이중고 겪을수도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수입관세 부과가 자동차를 비롯한 앨라배마 주력 산업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와 관련, 그렉 캔필드 앨라배마주 상무장관은 몽고메리 에드버타이저와의 인터뷰에서 “앨라배마의 일자리 10%가 사라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앨라배마내 9만 7000개의 일자리가 수출관련 산업이고, 10만개는 외국기업 유치로 창출됐다. 특히 자동차업계의 우려가 높다. 현재 앨라배마주의 자동차 수출 규모는 77억 5000만달러로 전국 3위다. 가장 큰 수입국은 중국이다. 글로벌 오토메이커 존 보젤라 CEO는 “2002년 부시 행정부 당시에도 비슷한 철강 관세가 부과됐으나 부작용으로 1년만에 해제된 바 있다”면서 “이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렉 캔필드 주 상무장관도 “단순히 완성차 업체만이 문제가 아니다”라며 “엔진을 포함해서 자동차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모든 분야에 걸쳐 비용 상승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현대차 공장을 비롯한 완성차 업체들은 조만간 발표될 세부 지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가뜩이나 판매가 부진한 상황에서 원가상승 부담까지 져야 할 판이다. 2월 현대차의 미국 차 판매는 전년대비 13% 줄었다. 오는 6월부터 몽고메리 공장에서 신형 산타페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이 역시 불투명한 상황이다. 지난해 2월까지 연간 생산량은 6만대였으나, 올 2월까지 연간 4만4000대로 줄었다. 이달에도 3일간 셧다운에 들어간다. 판매부진과 맞물려 관세부과로 이중고를 겪을 수 있는 상황이다. 현대차는 이 때문에 수입관세 피해를 줄이기 위해 미국내 공급업체와 수입 업체를 혼용해 원자재를 조달하는 등의 자구책을 마련 중이다. 현대차 앨라배마공장 짐 트레이노 대변인은 “수입관세 부과는 다른 여러나라들의 관세부과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내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최종 제품가격 인상도 우려된다”고 밝혔다. 권순우 기자

2018-03-1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